임금·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01다15422, 15439

선고일자:

200105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제1항에서 정한 방식을 갖추지 아니한 단체협약의 효력(무효) 및 위 규정에 위반된 단체협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에 반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제1항이 단체협약은 서면으로 작성하여 당사자 쌍방이 서명날인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취지는 단체협약의 내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장래 그 내용을 둘러싼 분쟁을 방지하고 아울러 체결당사자 및 그의 최종적 의사를 확인함으로써 단체협약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방식을 갖추지 아니하는 경우 단체협약은 효력을 가질 수 없다고 할 것인바, 강행규정인 위 규정에 위반된 단체협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에 위배되는 권리의 행사라는 이유로 이를 배척한다면 위와 같은 입법 취지를 완전히 몰각시키는 결과가 될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러한 주장이 신의칙에 위반된다고 볼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2조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5. 3. 10.자 94마605 결정(공1995상, 1698), 대법원 2000. 6. 23. 선고 2000다12761, 12778 판결(공2000하, 1752), 대법원 2001. 1. 19. 선고 99다72422 판결(공2001상, 495)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피상고인】 【피고(반소원고),상고인】 주식회사 새한상호신용금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천지인 담당변호사 신석중)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2. 1. 선고 2000나29815, 29822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반소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1998. 7. 30. 단체교섭시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 한다) 회사와 노동조합장 소외인과 사이에 임금과 상여금을 판시와 같이 감액하기로 하는 구두의 합의가 있었다는 점이나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 한다)들이 판시 특별상여금을 자진반납하였다는 피고의 주장에 부합하는 판시 각 증거를 채용하지 아니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하여 이를 배척한 조치는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잘못이 있다 할 수 없다. 2. 임금과 상여금을 감액하기로 하는 합의가 인정되지 아니하는 이상 그러한 합의가 있었음을 전제로 하는 신의칙 위반 주장은 이유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그러한 합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제1항이 단체협약은 서면으로 작성하여 당사자 쌍방이 서명날인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취지는 단체협약의 내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장래 그 내용을 둘러싼 분쟁을 방지하고 아울러 체결당사자 및 그의 최종적 의사를 확인함으로써 단체협약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대법원 1995. 3. 10.자 94마605 결정 참조), 그 방식을 갖추지 아니하는 경우 단체협약은 효력을 가질 수 없다고 할 것인바(대법원 2001. 1. 19. 선고 99다72422 판결 참조), 강행규정인 위 규정에 위반된 단체협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에 위배되는 권리의 행사라는 이유로 이를 배척한다면 위와 같은 입법 취지를 완전히 몰각시키는 결과가 될 것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러한 주장이 신의칙에 위반된다고 볼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0. 6. 23. 선고 2000다12761, 12778 판결 참조).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신의칙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이강국(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구두로 한 근로계약, 효력 있을까요? 🗣️

구두 근로계약도 법적 효력이 있으며, 서면 계약서 미작성은 사용자의 위법 행위이므로 임금 체불 및 미교부 시 고용노동부(1350)에 신고 가능합니다.

#구두 근로계약 효력#서면 근로계약서 미작성#사용자 위반#임금 체불 신고

민사판례

회사가 어려울 때 노사 합의, 제대로 했나요? 단체협약의 효력에 관한 중요 판결 분석!

회사가 정리 절차에 들어가면, 기존 대표이사가 아니라 법원에서 선임된 관리인이 회사를 대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리 절차 중 기존 대표이사와 노조가 맺은 합의는 정식 단체협약으로서 효력이 없으며, 근로자에게 적용될 수 없습니다. 단체협약은 정해진 형식을 갖춰야 효력이 있습니다.

#회사정리#단체협약#관리인#대표이사

민사판례

노조 위원장 단독으로 체결한 임금협약, 유효할까?

노동조합 대표자가 서명만 하고 도장을 찍지 않은 단체협약도 유효하며, 노조 위원장이 다른 교섭위원 의견을 듣지 않고 협약을 체결해도 유효하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이미 효력이 끝난 단체협약에 대해 효력 정지 가처분을 신청할 수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체협약#서명무인#효력#교섭권한

민사판례

노조 총회 없이 체결된 단체협약, 효력은?

노조 대표자가 조합원들의 의사 결정 절차를 무시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하면 조합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행위가 될 수 있다.

#노조#단체협약#총회 의결#불법행위

민사판례

부산시와 구청의 단체협약, 그 효력은 어디까지?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가 일용직 노동조합과 맺은 단체협약은 부산직할시 산하 자치구인 사하구에는 효력이 없다. 단체협약은 계약 당사자 간에만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단체협약#효력#부산시#사하구

민사판례

노조 간부 해고, 정당할까요? - 단체협약상 합의 조항과 해고의 효력

회사가 노조 간부를 징계할 때 노조와 사전 합의해야 한다는 단체협약 조항이 있다면, 회사는 노조와 진심으로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노조가 합리적인 이유 없이 합의를 거부한다면 회사는 합의 없이도 징계할 수 있다.

#노조 간부 징계#단체협약 합의#합의 거부권 남용#징계 유효성